2020년 4월 11일 토요일

코로나 시대의 레슬링

신일본 프로레슬링이 중단된 이후로 레슬링을 거의 보지 않고 있었습니다. 평소에 타 단체를 거의 보지를 않아서요. 그러는 와중에 업계 존망의 위기 속에서 여러 단체들이 무관중 경기로 다양한 시도를 펼치고 있습니다. 그리고 위기는 곧 기회라는 옛말을 증명하듯, 신선한 시도들을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제 눈에 띈 것은 3월 29일 프로레슬링 NOAH의 시오자키 고 대 후지타 카즈유키의 경기, 그리고 4월 4일 WWE레슬매니아의 언더테이커 대 AJ 스타일스 경기입니다. 프로레슬링의 상례와 너무나도 다른 이 두 경기는 서로 정반대 방향에으로 벽을 뚤고 나갑니다. 그리고 그 핵심은 바로 "소리"에 있다고 저는 느꼈습니다.


시오자키 대 후지타 경기의 전반 30분, 언제든 달려들 자세만을 취한채 두 레슬러가 상대를 노려볼 뿐이었던 그 30분이 많은 일본인들이 사랑해마지 않는 무사물의 정취를 노렸다는 것을 느끼기는 어렵지 않습니다. 소위 '정중동' 속에서 검을 든채 미동도 없이 서로를 노려보는 두 무사. 풀이 바람에 스쳐지나가는 소리만 나던중, 불현듯 달빛에 검광이 비치고 진검승부가 나며 한 무사는 그대로 쓰러지는 모습. 이런 모습이 얼마나 고증에 충실한지는 둘째치고 이런 서사가 그네들, 특히나 레슬링의 전통적인 일본인 팬들에게 어떻게 비쳐지를 짐작하기는 어렵지 않습니다.

카메라 찰칵이는 소리, 타임 키퍼의 호명, 간간히 들려오는 레프리와 세컨드의 재촉만이 들려오는 가운데 경기장을 지배하는 것은 정적입니다. 일본식 무사물에 비유컨대, 보통의 레슬링 시합이 영주와 관중들 앞에서 벌어지는 대낮의 어전 시합이라면, 무관중 경기장에서 두 레슬러가 벌이는 경기는 달밤처럼 어두운 관중석을 뒤로 한 정적 속의 경기입니다. 여러 색이 어우러진 모자이크보다도 단색의 평면이 더 꽉 차보일 수 있는 것처럼, 시오자키 대 후지타 경기는 그 정적을 통해 경기장을 메웠습니다.


언더테이커 대 AJ 스타일스의 경기는 루차 언더그라운드, 매트 하디가 딜리트 기믹을 통해 보인 여러 실험적 시도를 과감하게 스크린에 펼쳐냈습니다. 그 영화적인 연출도 연출이지만, 제가 주목한 것은 또 한번 그 '소리'였습니다. 관중들의 반응이 부재한 자리를 채우는 것은 경기라는 틀 하에서도 여전히 부각되는 대사들, 그리고 결정적으로 배경음악이었습니다.

배경음악은 허구 세계의 구성요소입니다. 우리네들 삶에 비극은 허다하지만 그때마다 비장한 배경음악이 흘러나오던가 하지 않습니다. 보통의 프로레슬링 경기에서 입장씬은 그 경계가 허물어지는 순간이며, 그렇기에 레슬링 경기에서 입장씬은 귀중합니다. 본 시합은 그런 발상을 한없이 늘인 연장입니다.

관중들의 성원과 해설이 사라진 캔버스의 빈 자리를 채우는 것은 대사와 효과음, 그리고 배경음악입니다.언더테이커가 '작업'을 마친 것과 동시에 종소리가 울리는 그 세계는 이미 현실과는 일별한 세계이며, 이로써 '스포츠 엔터테인먼트'는 현실과는 완전히 다른 재료로 이루어진 무언가임을 선언합니다.


변화가 없는 예술은 결국 조금씩 조금씩 스러져 갈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세계적 위기로 인해 레슬링계 역시 마찬가지로 큰 위기를 겪고 있습니다만, 그런 한계 덕분에 이런 전위적 시도를 보는 것은 팬으로서 기쁜 일입니다.

(2020-04-05)

2020년 2월 20일 목요일

"Mark"와 "Smark"

북미 레슬링 팬덤의 은어 중 "Mark"가 있습니다. 대략 '스토리와 실제를 구분하지 못하는 순진한 팬들'을 일컫는 비하 표현입니다. 동사 활용으로 "marking out"이 있습니다. ("헐. 나 타나하시 직접 보고서 mark out 했어!")

"Smark"는 "Smart mark"의 준말입니다. 요컨대 지들은 똑똑하다는 얘기입니다. 레슬링 캐릭터와 레슬러를 구분할줄 알고, 스토리와 백스테이지 상황을 구분할줄 알고, 케이페이브를 보다 '어른스러운' 관점에서 즐길 수 있다는거죠.


사실 두 용어 모두 본래는 멸칭이기는 합니다만, 맥락을 떠나서 위 두 명칭은 프로레슬링 팬들의 양면성을 잘 보여준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 두 면모 모두를 즐길 수 있는게 프로레슬링 팬으로서 즐거운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2020년 1월 5일 열린 레슬킹덤14 2일차는 충격적인 결말로 끝났습니다. 지난 몇 년간 팬들이 애타게 기다리던 바로 그 순간이 그 직전에, 정말 바로 그 직전에 산산조각나고 말았습니다. 

도쿄돔 메인 이벤트의 승자인 나이토 테츠야는 결국 마지막 "로스 인고베르나블레스 데! 하! 폰!"을 끝내지 못한채 KENTA의 난입에 쓰러지고 말았습니다. 영광스런 하나미치를 걸어나가지 못했습니다.


"아니 이런 XXX!"

먹먹한 심정으로 레슬킹덤을 시청하던 팬들 모두가 욱하면서 토해냈을 말입니다. 물론 그 대상은 그 빌어먹을 KENTA입니다.

하지만 우린 케이페이브의 존재를 알고 있습니다. 이건 모두 짜여진 대본대로 입니다. 그러면 욕을 먹어야할 사람은 퍼포머가 아닌 그 배후에 있는 존재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그 존재를 알고 있습니다. 


"게도 개XX!"


하지만 우린 또 알고 있습니다. 이른바 '도쿄돔 데하폰!'이 이루어지는 순간 '로스 인고베르나블레스 데 하폰'은 더이상 지금과 같은 모습으로 있을 수 없다는 것을요. 이는 일찌기 케니 오메가가 WOR에서 넌지시 언급하기도 한 신일본 수뇌진의 평가이기도 합니다.

이 시점에서 우리는 깨닫습니다. 아, LIJ는 이걸로 2020년도 거뜬하겠구나. 신일본 수뇌진은 LIJ 머천다이즈가 2020년에도 잘 팔릴거라고 전망하는구나, 등등요.

이런 점에서 우리는 팬들이 바라는 바로 그 스토리가 아직 끝나지 않았음을 깨닫게 됩니다.


그런데 한 편으로 여전히 찜찜합니다.


"나는 나이토가 끝내 한을 푸는 모습을 보고 싶었단 말이야."


근데 이때 "나이토"가 누군가요? 도쿄 아다치 구에서 태어난 37세 나이토 테츠야 씨인가요? 아니면 "스타 더스트 지니어스"였으며 "제어불능의 카리스마"가 된 '나이토 테츠야'인가요?

저희는 비극으로 끝나는 영화의 주인공을 보며 안타까워합니다. 하지만 비극으로 끝나는 영화의 주인공을 연기하는 배우를 보며 안타까워하지는 않습니다. 


프로레슬링은 묘합니다. 저흰 나이토 테츠야 씨와 레슬러 '나이토 테츠야'가 다르다는걸 알지만, 신일본 팬클럽의 일원이었으며 무토 케이지 그리고 타나하시 히로시를 존경했던 소년 나이토가 자라난 바로 그 나이토 테츠야의 역사를 알고 있기에 그와 '나이토 테츠야'를 겹쳐봅니다. 그래서 안타까워하고, 분노합니다. 그리고 약이 올라서 나이토 테츠야의 앞으로의 미래를 함께 따라갈 것입니다



케이페이브가 깨진 시점에서 프로레슬링은 뭘까요? 많은 이들이 그 전망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고, 그리고 실제로도 그 때문에 많은 팬들이 떠나가고 있는걸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케이페이브를 알면서, 현실의 레슬러와 스토리의 '레슬러'를 알면서 그 사이를 넘나드는 덕분에 우리는 Mark와 Smark라는 두 면모를 왔다갔다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는 프로레슬링이야말로 제공해줄 수 있는 바로 그런 예술적 경험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렇듯 추상적인 관점에서 레슬킹덤의 결말을 보고 느낀 저 자신의 감정을 차근히 분석해보는 것 또한 그 자체로도 흥미로운 도락이었습니다 


그치만 분명히 이 글을 올리고 어느 순간 부지불식에 저는 다시 한번 되뇌일게 분명합니다


"아, XX. 히데오 이타미 XXX."

(2020/01/05)